OKX에서 코인원으로 페페(PEPE) 전송하는 가장 쉬운 방법

OKX에서 매수한 밈코인 PEPE를 국내 거래소 코인원으로 안전하게 전송하는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입금 주소 확인부터 출금 네트워크 설정, 수수료 확인까지 실수 없이 따라 할 수 있도록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PEPE 전송, 장난처럼 보여도 실수하면 큰일 납니다.

밈코인이든 정통 프로젝트든, 전송은 항상 신중해야 합니다. 특히 PEPE처럼 단가가 낮고 수량이 많은 코인은 한 번 실수하면 수십만 개가 증발해버릴 수도 있죠. 저도 OKX에서 PEPE를 매수하고 나서 코인원으로 옮기려고 했는데, 처음엔 막막하더군요.

금 주소는 어디서 보지? 네트워크는 뭐로 설정하지? 수수료는 얼마나 빠질까? 이런 것들이 하나도 감이 안 잡혔어요. 그런데 알고 보면 절차는 간단합니다. 주소만 제대로 붙여넣고, 네트워크만 맞게 설정하면 금방 끝납니다. 이번 글에서는 OKX에서 코인원으로 PEPE를 가장 안전하고 쉽게 전송하는 방법을 정리해봤습니다. 실수하지 않게 하나하나 같이 확인해보시죠.

 

OKX에서 코인원으로 PEPE 전송하는 방법

전송 과정은 두 단계로 정리됩니다. 1단계: 코인원에서 PEPE 입금 주소 확인하기 2단계: OKX에서 출금 신청하기 하나씩 차근차근 설명드릴게요.

1단계. 코인원에서 PEPE 입금 주소 확인하기

전송을 시작하기 전, 먼저 코인원에서 PEPE를 받을 주소를 확인해야 합니다.

1. 코인원 웹사이트 또는 앱에 로그인합니다.
2. 상단 메뉴에서 ‘입출금’ 탭을 클릭합니다.
3. 검색창에 ‘PEPE’를 입력합니다.
4. ‘입금’ 버튼을 누르면 PEPE 전용 입금 주소가 생성됩니다.
5. 주소를 복사해서 메모장 등에 저장해둡니다.
6. 네트워크가 ERC-20인지 확인합니다.

주소는 반드시 복사해서 붙여넣어야 합니다. 직접 입력하면 오타 날 확률이 높습니다.
네트워크는 ERC-20만 지원되므로, OKX에서도 꼭 맞춰야 합니다.

 

2단계. OKX에서 PEPE 출금 신청하기

주소를 준비했으면, 이제 OKX에서 출금을 진행하면 됩니다.

1. OKX에 로그인한 뒤 ‘Assets(자산)’ 메뉴로 이동합니다.
2. ‘Withdraw(출금)’ 항목을 클릭하고, ‘PEPE’를 검색해 선택합니다.
3. 출금 네트워크는 반드시 ERC-20으로 선택합니다.
4. 복사해둔 코인원의 입금 주소를 붙여넣습니다.
5. 출금할 PEPE 수량을 입력합니다.
6. 출금 수수료(약 114,378 PEPE)를 확인하고, 최소 출금 수량 조건도 체크합니다.
7. 이메일 인증, 구글 OTP 인증을 완료한 후 출금 요청을 제출합니다.

출금이 완료되면 일반적으로 10~30분 이내에 코인원 지갑에 입금됩니다.
다만 네트워크 혼잡 시에는 조금 더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복사한 주소가 정확한지 다시 확인했는가?
네트워크는 ERC-20으로 맞췄는가?
출금 수수료와 최소 수량 조건을 확인했는가?
보안 인증은 제대로 설정돼 있는가?

 

전송할 때 수수료, OKX와 코인원 비교

밈코인인 PEPE는 개당 가격은 저렴해도 워낙 수량이 많다 보니, 출금 수수료도 수십만 개 단위로 표시됩니다. 하지만 원화로 환산해보면 실제 비용은 그리 크지 않습니다.
이번에는 OKX에서 코인원으로 보낼 때, 반대로 코인원에서 OKX로 보낼 때 수수료를 비교해보겠습니다.

OKX에서 코인원으로 PEPE 전송 시 수수료

OKX의 PEPE 출금 수수료는 약 114,378 PEPE입니다.
2025년 4월 기준 PEPE 가격이 약 0.0072원이라면, 수수료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114,378 PEPE × 0.0072원 = 약 823원

100만 원어치 PEPE를 보낸다고 하면, 약 138,888,889 PEPE 정도 전송하게 되는데,
그중 114,378 PEPE가 빠져나가면 수수료 비중은 약 0.08% 수준입니다.
이 정도면 충분히 부담 없이 전송 가능한 수준이죠.

 

코인원에서 OKX로 PEPE 전송 시 수수료

코인원은 현재 기준으로 PEPE의 출금 수수료를 공식적으로 명시하지 않았습니다.
다만 일반적으로 국내 거래소는 밈코인 출금 수수료가 비교적 높은 편이며,
업비트의 경우 약 590,000 PEPE 수준이기 때문에 코인원도 비슷한 수수료가 적용될 가능성이 큽니다.
가정해보면,

590,000 PEPE × 0.0072원 = 약 4,248원

수수료 비중도 약 0.42% 수준으로 OKX보다 5배가량 높은 셈입니다.

전송 방향수수료(PEPE)원화 환산 (0.0072원 기준)
OKX → 코인원114,378 PEPE약 823원
코인원 → OKX약 590,000 PEPE약 4,248원

 

OKX에서 보내는 쪽이 수수료 측면에서는 훨씬 유리합니다.
소액 전송할 때도 OKX에서 시작하는 게 훨씬 부담이 적어요.

 

입출금 정책 비교

수수료도 중요하지만, 코인을 잘못 보내는 실수는 대부분 ‘정책’을 모르고 진행해서 생깁니다. 네트워크 설정, 최소 수량, 트래블룰 적용 여부까지 각 거래소별로 미리 알고 있어야
나중에 낭패를 보지 않게 됩니다.

OKX 입출금 정책

지원 네트워크: ERC-20
출금 수수료: 114,378 PEPE
최소 출금 수량: 약 1,000,000 PEPE 이상 (출금 시 실시간 확인 필수)
출금 속도: 보통 10~30분 내외 (네트워크 혼잡 시 지연 가능)
보안 인증: 이메일 인증, OTP, 2FA 필수
기타 특징: 인터페이스는 깔끔하지만, 고객센터는 영어로 운영됨

OKX는 인터페이스가 직관적이고 속도도 빠른 편이지만,
출금 수량이나 수수료는 실시간으로 바뀔 수 있으니 출금 직전에 꼭 한 번 더 확인하셔야 합니다.

 

코인원 입출금 정책

지원 네트워크: ERC-20
출금 수수료: 공식 미표기, 다만 수십만 PEPE 수준으로 추정
최소 출금 수량: 보통 수백만 개 이상 설정됨
트래블룰: 100만 원 이상 전송 시 상대 지갑 등록 필수
보안 인증: 실명 인증, 휴대폰 본인 인증, OTP
기타 특징: 한글 고객센터 운영, 전송 이력 확인 편리

코인원은 국내 사용자가 접근하기 쉽고 고객 대응도 빠른 편이지만, 트래블룰 규정 때문에 OKX 지갑 주소를 미리 등록하지 않으면 출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00만 원 이상 보내실 경우에는 지갑 등록부터 먼저 진행해두세요.

 

PEPE 전송, 주소 복사보다 중요한 건 ‘네트워크’와 ‘수수료’입니다.

밈코인이라 가볍게 보기도 쉽지만, 코인을 전송할 때는 항상 신중해야 합니다. PEPE는 개수가 많고 단가가 낮다 보니, 수수료가 한눈에 와닿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막상 실수로 잘못 보내면 그 피해는 생각보다 큽니다.

이번 내용을 정리해보면, OKX에서 코인원으로 보낼 때 수수료는 약 823원 수준, 매우 저렴합니다. 코인원에서 OKX로 보낼 땐 수수료가 약 4~5배 높을 가능성이 큽니다. 네트워크는 반드시 ERC-20으로 설정해야 하며, 트래블룰 적용 여부, 최소 전송 수량, 주소 정확성까지 꼭 체크해야 합니다.

단 한 번이라도 직접 전송을 해보면, 이후에는 5분이면 끝나는 일입니다. 하지만 처음 전송 시에는 꼭 테스트용 소액부터 보내보고, 이상 없는 걸 확인한 다음 전체 수량을 전송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