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UMP 코인을 OKX에서 매수한 뒤 코인원으로 옮기고 싶은데, 처음이라 헷갈리셨나요? 입금 주소 복사부터 네트워크 설정, 수수료까지 차근차근 따라 하면 누구나 5분 만에 전송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처음만 익히면 TRUMP 전송은 정말 간단합니다.
요즘 암호화폐 시장에서 밈코인의 열기가 다시 살아나고 있죠. 그중에서 단연 눈에 띄는 게 바로 TRUMP입니다. 이게 단순한 장난성 코인처럼 보여도 거래량이나 시세 움직임 보면 꽤 진지하게 다룰 가치가 있어요.
저도 OKX에서 TRUMP를 매수한 뒤 코인원으로 옮기려고 했는데, 처음 해보니까 주소 복사부터 네트워크 선택까지 은근히 신경 써야 할 게 많더라고요. 특히 실수하면 자산이 사라질 수도 있으니 더 조심해야 하죠.
그래서 이번에는 OKX에서 코인원으로 TRUMP를 안전하게 전송하는 방법을 처음부터 끝까지 누구나 따라 할 수 있게 정리해봤습니다. 이 글만 읽고 그대로 따라 하시면, 앞으로는 5분이면 끝납니다.
본론 1. OKX에서 코인원으로 TRUMP 전송하는 방법
전체 과정은 간단합니다. 1단계는 코인원에서 내 입금 주소를 확인하고, 2단계는 OKX에서 해당 주소로 출금 신청을 하면 끝입니다. 하지만 몇 가지 주의할 점이 있으니 꼭 체크하면서 진행해야 합니다.
1단계. 코인원에서 TRUMP 입금 주소 확인하기
1. 코인원 앱이나 웹사이트에 로그인합니다.
2. 상단 메뉴에서 ‘입출금’ 메뉴로 들어갑니다.
3. 검색창에 ‘TRUMP’를 입력한 뒤, 해당 코인을 선택합니다.
4. ‘입금’ 버튼을 누르면 TRUMP 전용 입금 주소가 생성됩니다.
5. 이 주소를 정확히 복사합니다.
TRUMP는 Solana(SPL) 네트워크 기반입니다.
주소를 직접 입력하면 실수할 확률이 높습니다. 꼭 복사해서 붙여넣기 하세요.
코인원에서는 MEMO는 따로 필요 없습니다. 주소만 입력하면 됩니다.
주소 형식이 Solana 계열인지 확인도 꼭 하시고요.
2단계. OKX에서 TRUMP 출금 신청하기
1. OKX 웹 또는 앱에 로그인한 뒤, ‘Assets(자산)’ 메뉴로 이동합니다.
2. ‘Withdraw(출금)’을 선택하고, 검색창에 ‘TRUMP’를 입력해 선택합니다.
3. 출금 네트워크는 반드시 **Solana(SPL)**로 설정합니다.
4. 코인원에서 복사해둔 입금 주소를 정확하게 붙여넣습니다.
5. 출금할 TRUMP 수량을 입력합니다.
6. 출금 수수료(0.069 TRUMP)와 최소 출금 가능 수량을 확인합니다.
7. 이메일 인증, 구글 OTP 등 보안 인증을 진행하고 출금을 완료합니다.
출금 요청을 완료하면 보통 5~10분 안에 코인원 지갑으로 입금이 완료됩니다. Solana 네트워크라 그런지 체감상 확실히 빠릅니다.
단, 네트워크가 혼잡할 때는 약간 지연될 수도 있으니 너무 조급해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입금 주소 정확히 복사했는지
네트워크를 Solana로 설정했는지
최소 출금 수량과 수수료 조건 확인했는지
OTP, 이메일 인증 다 준비됐는지
여기까지 잘 따라오셨다면, TRUMP 전송은 무리 없이 성공하셨을 겁니다.
전송할 때 수수료 OKX vs 코인원 비교
TRUMP는 Solana 기반이라 전송 속도가 빠르고 수수료도 저렴한 편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거래소마다 수수료가 똑같은 건 아니기 때문에, 전송 방향에 따라 어떤 쪽이 더 유리한지 비교해보는 게 좋습니다.
OKX에서 코인원으로 전송할 때 수수료
OKX의 TRUMP 출금 수수료는 0.069 TRUMP입니다.
2025년 4월 현재 TRUMP의 시세가 약 11,000원 정도라고 가정하면,
0.069 TRUMP × 11,000원 = 약 759원
100만 원어치 TRUMP를 전송한다고 보면 약 90.9 TRUMP인데,
거기서 0.069 TRUMP만 수수료로 나가니, 전체 금액 대비 0.07%도 안 됩니다.
이 정도면 사실상 거의 무료라고 해도 무방하죠.
코인원에서 OKX로 전송할 때 수수료
코인원의 TRUMP 출금 수수료는 0.1 TRUMP로 확인됩니다.
같은 시세 기준으로 계산하면,
0.1 TRUMP × 11,000원 = 약 1,100원
OKX보다 약 340원 정도 비쌉니다.
물론 큰 차이는 아니지만, 반복 전송하거나 거래 규모가 크면 누적 차이가 생길 수 있죠.
전송 방향 | 수수료(TRUMP) | 원화 환산 (TRUMP = 11,000원 기준) |
OKX → 코인원 | 0.069 TRUMP | 약 759원 |
코인원 → OKX | 0.1 TRUMP | 약 1,100원 |
요약하자면, 수수료를 조금이라도 아끼고 싶다면 OKX에서 코인원으로 보내는 쪽이 더 유리합니다.
입출금 정책 비교
TRUMP는 밈코인이지만, 전송 자체는 굉장히 빠르고 안정적인 편입니다.
그렇지만 입출금 정책은 거래소마다 조금씩 다르고, 특히 네트워크 설정이나 지갑 등록 문제로 실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전에 확인해두는 게 안전합니다.
OKX 입출금 정책
지원 네트워크: Solana(SPL)
출금 수수료: 0.069 TRUMP
최소 출금 수량: 0.1 TRUMP 이상
보안 인증: 이메일 인증, 구글 OTP, 2단계 인증 필수
주의사항: 네트워크 설정이 잘못되면 자산 복구 거의 불가
OKX는 글로벌 거래소라 전송 속도나 처리 효율은 뛰어난 편입니다.
다만 복구 지원은 영어 기반이고, 고객센터 대응도 느리기 때문에 실수 없이 진행하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특히 네트워크 설정은 Solana(SPL)로 반드시 맞춰야 하며, 입금 주소는 항상 복사해서 붙여넣어야 합니다.
코인원 입출금 정책
지원 네트워크: Solana(SPL)
출금 수수료: 0.1 TRUMP
최소 출금 수량: 보통 0.2 TRUMP 이상
트래블룰: 100만 원 이상 전송 시 상대 거래소 지갑 등록 필수
보안 절차: 실명 인증, OTP, 휴대폰 본인 인증 필수
주의사항: 상대 주소 미등록 시 출금 불가
코인원은 국내 사용자에게 익숙한 인터페이스와 빠른 고객센터 대응이 장점입니다.
하지만 100만 원 이상 전송할 경우 지갑 등록이 필요하고, 초기에는 상대 지갑 주소 등록 과정이 조금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
이 점만 유의하시면 사용하기엔 아주 안정적인 거래소입니다.
TRUMP 전송, 어렵지 않지만 실수하면 손실도 큽니다.
TRUMP는 밈코인답게 시세 변동이 크지만, 전송만큼은 아주 간단하고 빠릅니다. OKX에서 코인원으로 보낼 경우 수수료도 759원 정도로 저렴하고, Solana 네트워크 덕분에 전송 속도도 체감상 매우 빠릅니다.
하지만 네트워크 설정이나 주소 오입력 같은 실수가 생기면 복구가 불가능하거나 고객센터를 통한 긴 절차를 거쳐야 하므로 처음 전송할 땐 소량으로 테스트 전송을 해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정리하자면, 수수료는 OKX → 코인원이 더 저렴하고 빠름, 네트워크는 무조건 Solana(SPL)로 설정해야 함, 입금 주소는 직접 입력 말고, 꼭 복사해서 사용, 100만 원 이상 전송 시엔 코인원에서 상대 지갑 등록 필수 한두 번만 전송해보면 금방 익숙해지고, TRUMP 외에 다른 Solana 기반 코인 전송할 때도 똑같이 응용하실 수 있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