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KX에서 코인원으로 아비트럼(ARB) 전송하는 가장 쉬운 방법

OKX에서 매수한 아비트럼(ARB)을 국내 거래소 코인원으로 전송하려면 입금 주소 확인부터 네트워크 설정, 수수료 체크까지 꼼꼼하게 챙겨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처음 하시는 분들도 실수 없이 따라할 수 있도록 전송 과정을 단계별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ARB 전송, 익숙해지면 정말 쉬워집니다.

요즘 아비트럼(ARB)에 투자하시는 분들 많으시죠. 이더리움 기반의 레이어2 프로젝트로, 속도도 빠르고 수수료도 저렴해서 개인적으로도 꽤 눈여겨보고 있는 코인입니다. 저 역시 OKX에서 ARB를 매수한 다음, 국내 원화로 바꾸기 위해 코인원으로 옮겨야 할 일이 생겼습니다.

그런데 막상 전송을 하려니 생각보다 체크할 게 많더라고요. 입금 주소는 어디서 확인하는지, 네트워크는 뭐로 설정해야 하는지, 수수료는 얼마나 드는지… 괜히 한 번 실수해서 자산 날릴까 걱정되기도 했고요. 예전에는 네트워크를 잘못 골라서 몇 시간 동안 입금이 지연된 적도 있어서, 이번엔 제대로 정리하고 가자는 생각으로 하나하나 체크했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OKX에서 코인원으로 ARB를 전송하는 전 과정을 정확하고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지금부터 천천히 따라와 주세요. 한 번만 해보면 다음부턴 정말 3분이면 끝납니다.

 

OKX에서 코인원으로 ARB 전송하는 방법

전송 절차는 두 단계입니다. 코인원에서 ARB 입금 주소를 확인한다. OKX에서 해당 주소로 출금 신청을 한다. 이 두 단계만 잘 따라 하시면 실수 없이 안전하게 전송하실 수 있습니다.

1단계. 코인원에서 ARB 입금 주소 확인하기

1. 코인원 앱 또는 웹사이트에 로그인합니다.
2. 상단 메뉴에서 ‘입출금’을 클릭합니다.
3. 검색창에 ‘ARB’를 입력해서 아비트럼을 선택합니다.
4. ‘입금’ 버튼을 클릭하면 입금 주소가 생성됩니다.
5. 해당 주소를 정확히 복사해둡니다.

코인원은 Arbitrum One 네트워크 입금만 지원합니다.
다른 네트워크(Ethereum, BSC 등)는 지원되지 않으니 반드시 Arbitrum One으로만 전송하셔야 합니다.
메모(MEMO)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주소 입력은 직접 입력하지 말고 복사-붙여넣기를 활용해 주세요. 오타나 공백이 있으면 입금이 누락될 수 있습니다.

 

2단계. OKX에서 ARB 출금 신청하기

1. OKX에 로그인한 뒤, 상단 메뉴에서 ‘자산(Assets)’ → ‘출금(Withdraw)’을 클릭합니다.
2. 검색창에 ‘ARB’를 입력해서 아비트럼(ARB)을 선택합니다.
3. 출금 네트워크는 반드시 Arbitrum One으로 설정합니다.
4. 복사해둔 코인원의 입금 주소를 정확히 붙여넣습니다.
5. 출금 수량을 입력합니다.
최소 출금 수량은 1 ARB 이상입니다.
OKX의 ARB 출금 수수료는 0.02 ARB, 약 13원 정도입니다.
6. 모든 정보가 정확한지 확인한 후 ‘출금’ 버튼을 누릅니다.
7. 이메일 인증, 구글 OTP, 자산 비밀번호 등의 보안 인증 절차를 완료하면 출금이 진행됩니다.

OKX에서 출금이 승인되면 보통 5분~10분 안에 코인원에 도착합니다. 네트워크 혼잡도에 따라 가끔 20~30분까지 지연될 수도 있으니, 여유 있게 기다리시면 됩니다.

 

전송할 때 수수료, OKX에서 보내는 게 훨씬 이득입니다.

코인을 자주 전송해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수수료 차이도 누적되면 꽤 큰 금액이 됩니다. ARB는 다른 코인에 비해 수수료가 낮은 편이지만, OKX에서 보내는지, 코인원에서 보내는지에 따라 실제 체감 비용 차이가 나더라고요.

OKX → 코인원 전송 시 수수료

출금 수수료: 0.02 ARB
ARB 시세 기준: 약 660원
환산 수수료: 0.02 ARB × 660원 = 약 13.2원
100만 원어치 전송 시 수량: 약 1,515 ARB
비율: 약 0.0013%

이 정도면 사실상 없는 수수료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10원대로 해결되는 전송이니, OKX에서 코인원으로 보내는 건 비용 면에서 거의 부담이 없습니다. 전송 속도도 빠른 편이라 실사용자 입장에서는 상당히 만족스럽습니다.

 

코인원 → OKX 전송 시 수수료
출금 수수료: 0.3 ARB
환산 수수료: 0.3 ARB × 660원 = 약 198원
비율: 약 0.0198%
코인원에서는 수수료가 OKX보다 약 15배 가량 높습니다. 물론 원화 기준으로 따지면 여전히 200원도 안 되는 수준이지만, 거래를 자주 하시거나 큰 금액을 반복적으로 전송하시는 분들에겐 이 차이가 쌓이면 부담이 될 수 있어요.

전송 방향출금 수수료(ARB)수수료(원화 기준)전체 금액 대비 비율
OKX → 코인원0.02 ARB약 13.2원약 0.0013%
코인원 → OKX0.3 ARB약 198원약 0.0198%

 

결론적으로 보면, OKX에서 ARB를 보내는 쪽이 훨씬 유리합니다. 코인원에서는 되도록이면 여러 건을 묶어서 한 번에 보내는 게 낫습니다.

 

입출금 정책 비교, 실수 방지를 위해 꼭 알고 있어야 할 포인트들

수수료보다 더 중요한 게 바로 입출금 정책입니다. 특히 네트워크 설정이나 입금 주소 오입력은 돈을 통째로 날리는 실수로 이어질 수 있으니까요. 거래소마다 입출금 처리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미리 체크해두는 게 좋습니다.

OKX 입출금 정책

지원 네트워크: Arbitrum One
출금 수수료: 0.02 ARB
최소 출금 수량: 1 ARB 이상
보안 절차: 이메일 인증, OTP, 보안 비밀번호
주의사항: 네트워크나 주소 실수 시 복구 거의 불가능, 고객센터는 영어 기반
OKX는 글로벌 거래소답게 전송 처리 속도는 빠릅니다. 다만 실수했을 때 문의가 어렵고, 복구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전송 전에 반드시 네트워크와 주소를 두세 번 이상 확인하셔야 합니다.

 

코인원 입출금 정책

지원 네트워크: Arbitrum One
출금 수수료: 0.3 ARB
최소 출금 수량: 1 ARB
보안 절차: OTP, 보안 비밀번호, 이메일 인증
주의사항: 출금 요청 시 내부 승인 과정으로 인해 5~15분 소요될 수 있음
코인원은 국내 거래소라 UI도 익숙하고, 고객센터 대응도 빠릅니다. 문제 발생 시 한글로 바로 문의할 수 있다는 점에서 OKX보다 심리적으로는 편안하죠. 다만 자동 출금 시스템이 아니라서 급할 땐 조금 답답할 수도 있습니다.

 

ARB 전송, 이 네 가지만 기억하면 누구든지 실수 없이 보낼 수 있습니다.

OKX에서 코인원으로 아비트럼(ARB)을 전송하는 건 생각보다 간단하지만, 자산이 오가는 일이니만큼 몇 가지 기본을 놓치지 않는 게 중요합니다. 다행히 ARB는 메모가 필요 없고, 네트워크도 Arbitrum One으로 단일화돼 있어서 실수할 여지는 크지 않지만, 그렇다고 방심해선 절대 안 됩니다. 실수 없이 안전하게 전송하려면 다음 네 가지만 꼭 기억해두세요.

첫째, 입금 주소는 반드시 ‘복사-붙여넣기’ 방식으로 입력할 것. 직접 입력은 금물입니다.
둘째, 네트워크는 반드시 Arbitrum One으로 정확히 설정해야 합니다.
셋째, 수수료와 최소 출금 수량을 감안해 넉넉한 잔고를 확보한 후 전송할 것.
넷째, 처음 전송하신다면 반드시 소량(예: 1 ARB)으로 테스트 전송을 진행할 것.

이 네 가지만 지키면 ARB든 다른 코인이든 실수 없이 안전하게 전송하실 수 있습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