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KX에서 코인원으로 온톨로지(ONT) 전송하는 가장 쉬운 방법

OKX에서 온톨로지(ONT)를 코인원으로 전송하려면 입금 주소 확인부터 출금 네트워크 설정, 수수료 확인까지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합니다. 헷갈리지 않도록 실제 전송 흐름을 순서대로 정리했습니다. 처음 해보는 분도 쉽게 따라올 수 있게 구성했습니다.

온톨로지(ONT) OKX에서 전송하는 법

 

 ONT 전송, 한 번만 제대로 배우면 그다음부터는 쉽습니다.

해외 거래소에서 코인을 사고 국내 거래소로 옮겨서 원화로 바꾸는 과정, 생각보다 자주 하게 됩니다. 그중 OKX에서 온톨로지(ONT)를 매수한 뒤 코인원으로 전송하려는 분들이 꽤 많은데요. 처음 해보는 분들은 네트워크가 뭔지, 입금 주소는 어디서 확인하는지, 수수료는 얼마나 되는지 하나하나 다 막막하게 느껴질 수밖에 없습니다.

히 잘못 보내서 코인 증발했다는 이야기 들으면 더 겁나기도 하고요. 하지만 걱정 안 하셔도 됩니다. 오늘은 이 전송 과정을 차근차근 단계별로 풀어보겠습니다. 복잡해 보이지만 순서대로만 따라오시면 누구나 실수 없이 전송할 수 있습니다.

 

OKX에서 코인원으로 온톨로지(ONT) 전송하는 방법

ONT 전송은 간단하게 말하면 두 단계입니다.
1단계: 코인원에서 입금 주소 확인, 2단계: OKX에서 출금 신청입니다. 지금부터 순서대로 같이 확인해보죠.

 

1단계. 코인원에서 ONT 입금 주소 확인하기

먼저 코인원에서 내가 받을 ONT 주소를 확인해야 합니다. 이걸 OKX에 입력해서 보내는 구조예요.

1. 코인원 웹사이트 또는 앱에 로그인합니다.
2. 상단 메뉴에서 ‘입출금’을 선택합니다.
3. 검색창에 ‘ONT’를 입력하면 온톨로지가 뜹니다.
4. ‘입금’ 버튼을 누르면 입금 주소가 생성됩니다.
5. 이 주소를 복사해서 메모장 등에 붙여넣고 확인합니다.

여기서 꼭 주의할 점은 두 가지입니다.
첫째, 반드시 ‘Ontology 메인넷’ 주소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잘못해서 ERC-20 주소로 전송하면 입금이 안 되고, 심하면 코인 날릴 수도 있습니다.
둘째, 주소는 절대 직접 입력하지 말고 무조건 복사해서 붙여넣기 하세요.
띄어쓰기 하나 들어가도 전송이 실패할 수 있습니다.

 

2단계. OKX에서 ONT 출금 신청하기

이제 코인원에서 받은 입금 주소로 OKX에서 ONT를 보내는 단계입니다.

1. OKX에 로그인합니다.
2. 상단 메뉴에서 ‘Assets(자산)’을 클릭합니다.
3. ‘Withdraw(출금)’ 메뉴로 들어갑니다.
4. ‘ONT’를 검색해 선택합니다.
5. 출금 네트워크는 반드시 Ontology 메인넷으로 설정합니다.
6. 앞서 복사한 코인원 입금 주소를 붙여넣습니다.
7. 전송할 ONT 수량을 입력합니다.
8. 출금 수수료(1 ONT)와 최소 출금 가능 수량(1 ONT)을 확인합니다.
9. 모든 정보를 확인하고 ‘출금 신청’을 클릭합니다.
10. 이메일 인증, OTP 인증 등 보안 절차를 마치면 전송이 시작됩니다.

보통 출금은 5~10분 안에 코인원에 입금되지만, 네트워크가 혼잡할 경우 더 걸릴 수도 있으니 너무 조급하게 생각하진 마세요.

입금 주소는 정확히 복사해서 입력
출금 네트워크는 반드시 ‘Ontology 메인넷’으로 선택
수수료 및 최소 출금 수량은 출금 전에 확인

 

전송할 때 발생하는 수수료

코인을 옮길 때 수수료는 무시할 수 없는 요소입니다. 전송 금액이 커질수록 수수료 부담이 상대적으로 줄긴 하지만, 그래도 정확히 알고 넘어가는 게 좋죠. 이번엔 OKX에서 코인원으로 온톨로지(ONT)를 전송할 때와, 반대로 코인원에서 OKX로 전송할 때 각각 어떤 수수료가 드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OKX에서 코인원으로 ONT 전송 시 수수료

현재 기준(2025년 4월), OKX의 ONT 출금 수수료는 1 ONT입니다.
ONT 가격이 약 130원이라면,
1 ONT × 130원 = 약 130원
100만 원어치 ONT를 전송한다고 하면 약 7,700개쯤 되니,
이 중 1개가 수수료로 빠지는 셈이죠. 전체 금액 대비로 보면 0.01% 수준입니다.
이 정도면 거의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의 수수료라고 볼 수 있습니다.

2) 코인원에서 OKX로 ONT 전송 시 수수료

코인원의 ONT 출금 수수료는 0.1 ONT입니다.
같은 단가로 계산하면,
0.1 ONT × 130원 = 약 13원
이 역시 거의 무료에 가까운 수수료입니다.
하지만 주의하셔야 할 건, 전송하려는 금액이 100만 원을 넘기면 트래블룰 적용 대상이 되면서 출금이 지연되거나, 지갑 주소 사전 등록이 필요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전송 방향출금 수수료환산 금액 (ONT = 130원)
OKX → 코인원1 ONT약 130원
코인원 → OKX0.1 ONT약 13원

 

결과적으로 두 방향 모두 수수료가 매우 저렴한 편입니다. 전송 비용 부담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니, 오히려 정확한 전송 네트워크와 주소 입력이 훨씬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OKX와 코인원의 입출금 정책 비교

이번엔 두 거래소의 입출금 정책 차이를 살펴보겠습니다. 수수료보다 더 중요한 게 바로 입출금 절차와 인증 방식입니다. 이 부분에서 실수가 나오면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전송이 아예 막힐 수도 있거든요.

1) OKX의 ONT 입출금 정책

지원 네트워크: Ontology 메인넷
출금 수수료: 1 ONT
최소 출금 수량: 1 ONT
보안 인증: 이메일 인증, 앱 인증, 2FA 필수
출금 처리 속도: 일반적으로 5~10분 내 입금 완료
기타 특징: 해외 거래소지만 시스템은 직관적이고, 자동화된 출금 처리 속도가 빠른 편

OKX는 글로벌 거래소답게 프로세스가 빠르고 효율적입니다. 한 가지 단점이라면 문제가 생겼을 때 영어로 고객센터에 문의해야 한다는 점인데, 자주 문의할 일은 거의 없습니다.

2) 코인원의 ONT 입출금 정책

지원 네트워크: Ontology 메인넷
출금 수수료: 0.1 ONT
최소 출금 수량: 보통 1 ONT 이상
보안 인증: 실명 인증, OTP, 계좌 등록, 출금 비밀번호
트래블룰 적용: 100만 원 이상 출금 시 상대 지갑 등록 필요
출금 지연 가능성: 신규 지갑 주소는 출금 제한이 걸릴 수 있음

코인원은 국내 거래소라 보안과 규정이 잘 정비돼 있고, 한글 고객센터가 빠르게 대응해주는 점이 강점입니다. 다만, 트래블룰 제약으로 인해 출금 전에 반드시 지갑 주소를 등록해야 하고, 금액에 따라 추가 인증이 요구되는 경우도 있다는 점은 미리 알아두셔야 합니다.

 

온톨로지(ONT) 전송, 실수만 없으면 금방 익숙해집니다.

ONT를 OKX에서 코인원으로 전송하는 과정은 겉보기엔 복잡해 보여도, 실제로 해보면 단순한 반복입니다. 수수료는 OKX 쪽이 약 130원, 코인원은 13원으로 둘 다 매우 저렴하고, 전송 금액이 100만 원 이상이라면 코인원에서는 트래블룰 때문에 지갑 주소 등록을 먼저 해둬야 한다는 점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장 중요한 건 네트워크를 반드시 Ontology 메인넷으로 선택하는 것과, 입금 주소를 정확히 복사해서 사용하는 것입니다. 한 번만 제대로 해보면 다음부터는 3분도 안 걸리는 일이니까요. 실수 없이, 차근차근만 진행하시면 누구나 쉽게 ONT 전송을 마칠 수 있습니다.

Leave a Comment